총외채(Total External Debt) 거주자가 비거주자로부터 차용한 돈과 국내 외국은행 지점의 해외 본점으로부터의 차입금을 포함한 세계은행 기준 외채에 국내 금융기관이 외국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빌린 역외 차입금 및 해외점포 차입금까지 합한 개념입니다.
총외채의 구성 요소
- 세계은행 기준 외채: 거주자가 비거주자로부터 차용한 돈 및 국내 외국은행 지점의 해외 본점으로부터의 차입금
- 국내 금융기관의 역외 차입금: 국내 금융기관이 외국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빌린 차입금
- 해외점포 차입금: 국내 금융기관의 해외 지점이 차입한 자금
총외채 현황
우리나라의 총외채 규모는 1990년대 후반 IMF 외환위기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습니다.
-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총외채는 약 6,400억 달러 수준입니다.
- 이는 GDP 대비 약 30% 수준으로, 국제적으로 볼 때 적정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총외채 관리의 중요성
- 총외채가 지나치게 증가하면 국가 부채 상환 능력이 저하되어 경제 위기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정부는 총외채 규모와 구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우리나라는 1997년 말부터 IMF의 요구에 따라 이러한 총체적인 개념의 외채 지표를 사용하고 있으며, 세계에서 유일하게 이 개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총외채는 거주자의 비거주자에 대한 총체적인 대외지불부담을 나타내는 지표로, 우리나라는 1997년 IMF 외환위기 이후 이 개념을 도입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총외채 규모와 구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은 국가 경제의 건전성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자: 자본으로써 돈이나 물건을 회사나 조합, 그 밖의 영리법인에 내놓는 것 (41) | 2024.05.03 |
---|---|
추가경정예산: 본예산에 부득이한 사유로 변경이 필요할 때 편성하는 예산 (23) | 2024.05.02 |
초자본주의: 정치적 민주주의가 자본주의의 단점을 해결하거나 제어하지 못하는 상태 (23) | 2024.04.30 |
채권보증회사: 채권 발행자가 채권 상환에 실패할 경우, 채권 보유자에게 원금과 이자를 지급하는 역할 (28) | 2024.04.29 |
집적 이익: 관련 산업이 특정 지역에 집중적으로 모여 있을 때 발생하는 경제적 이점 (44) | 2024.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