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환 평가: 기업이 보유한 외화자산과 외화부채의 가치를 보고기간 말 현재의 환율로 환산하여 회계처리하는 과정

by 그녀의이야기 2024. 11. 2.
반응형

환 평가(Foreign Exchange Valuation)는 기업이 보유한 외화자산과 외화부채의 가치를 보고기간 말 현재의 환율로 환산하여 회계처리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외화거래로 인한 손익을 재무제표에 반영하게 됩니다.

환 평가

환 평가의 필요성

- 외화자산과 외화부채의 가치 변동을 정확히 반영하기 위해
- 외화거래로 인한 손익을 재무제표에 적시에 반영하기 위해
-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보다 투명하게 공시하기 위해

환 평가의 회계처리

1. 외화자산 및 부채의 환산: 보고기간 말 현재의 환율을 적용하여 장부금액을 측정
2. 환산차이 인식: 외화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과 보고기간 말 환율로 환산한 금액의 차이를 당기손익 또는 기타 포괄손익으로 인식
3. 외화거래 시 환산: 거래일의 환율을 적용하여 최초 인식 후 보고기간 말 현재의 환율로 재환산

환 평가의 유형

1. 법정 평가: 본위 화폐가 동일한 국가 간 환율 결정
2. 이론 평가: 본위 화폐가 다른 국가 간 환율 결정 (금본위제와 은본위제)
3. IMF 평가: IMF 규정에 따라 각국 통화의 가치를 미국 달러로 표시

환 평가의 영향

- 외화자산과 부채의 가치 변동으로 인한 외화환산손익 발생
- 외화거래 시 환율 변동으로 인한 외환거래손익 발생
- 재무제표 항목의 변동으로 재무비율 변화

환 평가 관련 회계기준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
- 일반기업회계기준 제6장 '외화환산' 환 평가는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정확히 반영하기 위해 필수적인 회계처리 과정입니다. 기업은 관련 회계기준을 준수하여 외화거래와 외화자산/부채의 환산으로 인한 손익을 적절히 인식하고 공시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