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구 효과(Pigou Effect)는 영국의 경제학자 아서 피구(Arthur Cecil Pigou, 1877-1959)가 제시한 개념으로, 실질 잔고(자산)의 증가가 소비 증가를 유발하여 산출과 고용을 증가시키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특히 디플레이션 상황에서 자산 가치가 상승하면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소비가 늘어나 경제 활동이 활성화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피구 효과의 작동 원리
1. 실질 잔고 증가: 디플레이션으로 인해 화폐의 실질 가치가 상승하면 소비자들의 실질 자산이 증가합니다.
2. 소비 증가: 소비자들은 자산 가치 상승으로 인해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줄어들어 소비를 늘리게 됩니다.
3. 산출 및 고용 증가: 소비 증가로 인해 기업의 생산 활동이 활성화되고, 이는 고용 증가로 이어집니다.
피구 효과의 중요성
피구 효과는 디플레이션 상황에서 경제 정책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정부는 화폐 공급 확대, 금리 인하 등의 정책을 통해 실질 잔고 증가를 유도하여 소비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경기 침체를 극복하고 경제 성장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피구 효과와 케인스 이론의 관계
피구 효과는 케인스 이론과 대조되는 개념으로, 케인스는 디플레이션 상황에서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피구는 화폐 정책을 통한 실질 잔고 증가가 소비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이처럼 피구 효과는 경제 정책 수립에 있어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피구 효과는 디플레이션 상황에서 실질 자산 증가가 소비 증가로 이어져 경제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경제학의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는 경제 정책 수립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폐수량설: 물가 수준이 화폐의 수량에 비례한다는 이론 (134) | 2024.05.21 |
---|---|
하방경직성: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가격이 내려가야 할 때에도 가격이 내려가지 않는 현상 (33) | 2024.05.20 |
프리코노믹스: 디지털 산업에서 무료 제공을 기반으로 하는 경제 모델 (12) | 2024.05.17 |
풍선 효과: 어떤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하면 다른 문제가 발생하는 현상 (19) | 2024.05.16 |
폐쇄경제: 외국과의 금융 및 무역 거래를 하지 않는 경제 체제 (22) | 2024.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