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면계좌는 일정 기간 동안 입출금 거래가 없는 예금 계좌를 말합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예금 잔액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휴면계좌로 분류됩니다
휴면개좌 개요
- 1만 원 미만: 1년 이상 입출금 거래 없음
- 1만원 이상 5만 원 미만: 2년 이상 입출금 거래 없음
- 5만원 이상: 3년 이상 입출금 거래 없음 은행은 이러한 휴면계좌에 대해 5년간 거래가 없으면 은행의 잡수익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원칙적으로 은행의 환급 의무도 없어집니다.
휴면계좌 관리 및 조회
휴면계좌로 분류된 계좌는 거래가 중지되며, 은행은 이를 관리하게 됩니다. 고객은 금융감독원 통합조회시스템이나 각 은행의 홈페이지를 통해 본인의 휴면계좌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우체국에서도 거래계좌중지제도가 운영되고 있어, 우체국 예금계좌에 대한 휴면계좌 조회도 가능합니다.
휴면계좌 환급 및 활용
고객이 휴면계좌를 찾아 환급을 요청하면, 은행은 이를 처리해야 합니다. 다만 5년이 지난 계좌의 경우 은행의 환급 의무가 없어지므로, 고객 입장에서는 가능한 한 빨리 휴면계좌를 찾아 환급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편 은행은 휴면계좌에서 발생한 잡수익을 사회공헌 활동이나 금융소외계층 지원 등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휴면계좌가 사회적으로 유용하게 쓰이고 있습니다.
기타 정보
금융감독원에서는 휴면계좌 관리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정부 포털 사이트 '정책브리핑'에서도 휴면계좌 조회 방법 등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융투자협회와 한국예탁결제원에서도 각각 휴면성증권계좌 조회 시스템과 실기주과실 조회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휴면계좌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조회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므로, 고객들은 본인의 계좌 상황을 꼭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소성: 인간의 무한한 욕구와 제한된 자원 간의 문제에서 발생하는 현상 (41) | 2024.05.27 |
---|---|
흑자와 적자: 재무상태나 경제활동에서 중요한 개념 알아보기 (21) | 2024.05.25 |
환업무: 현금의 이동 없이 격지에 있는 거래 당사자 간의 채권과 채무를 결제하는 은행의 업무 (12) | 2024.05.23 |
화폐수량설: 물가 수준이 화폐의 수량에 비례한다는 이론 (134) | 2024.05.21 |
하방경직성: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가격이 내려가야 할 때에도 가격이 내려가지 않는 현상 (33) | 2024.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