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환업무(Foreign Exchange Business)는 현금의 이동 없이 격지에 있는 거래 당사자 간의 채권과 채무를 결제하는 은행의 업무입니다. 이를 통해 송금, 추심 등의 거래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환업무의 종류
1. 내국환업무
- 국내 은행 본·지점 간 또는 환거래 특약이 있는 은행 간 대차 관계 결제
- 수표, 어음 등의 매매를 통한 국내 거래 결제
2. 외국환업무
- 은행을 통한 환어음 매매로 국제 대차 관계 결제
- 수출입 대금 결제, 해외 송금 등 국제 거래 수행
환업무의 특징
- 현금의 이동 없이 채권·채무 관계 결제
- 은행이 중개자 역할을 수행
- 수수료 수입을 통한 수익 창출
- 국내외 거래 결제에 활용
환업무의 필요성
- 거래 당사자 간 원거리 결제 가능
- 현금 운송 및 보관 비용 절감
- 신속하고 안전한 거래 결제 수단 제공
- 국제 거래 활성화에 기여
환업무 관련 규제
- 외국환거래법, 은행법 등에 근거한 규제 적용
- 예금수취기관에 한해 환업무 취급 허용
- 건전성 규제, 보고 의무 등 준수 필요
환업무는 현금 없이도 거래 당사자 간 결제를 가능하게 하는 은행의 핵심 업무입니다. 이를 통해 거래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이며, 국내외 거래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흑자와 적자: 재무상태나 경제활동에서 중요한 개념 알아보기 (21) | 2024.05.25 |
---|---|
휴면계좌: 일정 기간 동안 입출금 거래가 없는 예금 계좌 (24) | 2024.05.24 |
화폐수량설: 물가 수준이 화폐의 수량에 비례한다는 이론 (134) | 2024.05.21 |
하방경직성: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가격이 내려가야 할 때에도 가격이 내려가지 않는 현상 (33) | 2024.05.20 |
피구 효과: 실질 잔고의 증가가 소비 증가를 유발하여 산출과 고용을 증가시키는 현상 (17) | 2024.05.18 |